OpenSSL

OpenSSL
개발자OpenSSL 프로젝트
발표일1998년(26년 전)(1998)
안정화 버전
안정판3.3.1[1]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2024년 6월 4일
저장소
  • github.com/openssl/openssl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프로그래밍 언어C
운영 체제멀티 플랫폼
종류보안 라이브러리
라이선스아파치 라이선스 1.0, 4-clause BSD 라이선스
웹사이트http://www.openssl.org/

OpenSSL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에 쓰이는 프로토콜TLS와 SSL의 오픈 소스 구현판이다. C 언어로 작성되어 있는 중심 라이브러리 안에는, 기본적인 암호화 기능 및 여러 유틸리티 함수들이 구현되어 있다.

OpenSSL은 Eric A. Young과 Tim Hudson이 만든 SSLeay에 기반을 두고 있다. SSLeay의 개발은 Young과 Hudson이 RSA Security로 적을 옮긴 1998년 12월 이래 비공식적으로 중단되어 있다.[출처 필요]

거의 모든 버전의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솔라리스, 맥 OS X, 리눅스, BSD 포함) 및 OpenVMS, 윈도우에서 OpenSSL을 이용할 수 있다.

주요 버전 배포 현황

각 버전의 정식 출시일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2]

  • OpenSSL 3.0.0 - 출시일: 2021-09-07[3]
  • OpenSSL 1.1.1 - 출시일: 2018-09-11[4]
  • OpenSSL 1.1.0 - 출시일: 2016-08-25
  • OpenSSL 1.0.2 - 출시일: 2015-01-22
  • OpenSSL 1.0.1 - 출시일: 2012-03-14
  • OpenSSL 1.0.0 - 출시일: 2010-03-29
  • OpenSSL 0.9.8 - 출시일: 2005-07-05
  • OpenSSL 0.9.7 - 출시일: 2002-12-31
  • OpenSSL 0.9.6 - 출시일: 2000-09-24
  • OpenSSL 0.9.5 - 출시일: 2000-02-28
  • OpenSSL 0.9.4 - 출시일: 1999-08-09
  • OpenSSL 0.9.3 - 출시일: 1999-05-25
  • OpenSSL 0.9.2b - 출시일: 1999-03-22
  • OpenSSL 0.9.1c - 최초 출시일: 1998-12-23

알고리즘

OpenSSL은 각기 다른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지원한다:

암호문(cipher)
AES, 블로피시, Camellia, CAST-128, DES, IDEA, RC2, RC4, RC5, 트리플 DES, GOST 28147-89
암호학의 해시 함수
MD5, MD2, SHA-1, SHA-2, MDC-2
공개 키 암호 방식
RSA, DSA, 디피-헬만 키 교환, 타원 암호, GOST R 34.10-2001

취약점

하트블리드

같이 보기

각주

  1. “OpenSSL version 3.3.1 published”. 2024년 6월 4일. 2024년 6월 5일에 확인함. 
  2. OpenSSL - Project Newsflash!
  3. https://www.openssl.org/blog/blog/2021/09/07/OpenSSL3.Final/
  4. https://www.openssl.org/blog/blog/2018/09/11/release111/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OpenSSL
  • (영어) OpenSSL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 (영어) OpenSSL Manpages
  • (영어) OpenSSL Programming Guide
  • (영어) The OpenSSL License and the GPL Archived 2014년 7월 23일 - 웨이백 머신 by Mark McLoughlin
  • (영어) OpenSSL programming tutorial
  • (영어) OpenSSL Community Wiki
  • v
  • t
  • e
암호화 소프트웨어
이메일 클라이언트
보안 통신
OTR
SSH
TLS & SSL
VPN
ZRTP
  • CSipSimple
  • Jitsi
  • Linphone
  • Jami
  • Zfone
P2P
  • Bitmessage
  • RetroShare
  • Tox
DRA
디스크 암호화
(비교)
익명성
파일 시스템 (목록)
  • EncFS
  • EFS
  • eCryptfs
  • LUKS
  • PEFS
  • Rubberhose
  • StegFS
  • Tahoe-LAFS
서비스 제공자
교육
  • CrypTool
관련 주제
  • 분류 분류
  • 위키미디어 공용 공용
  • v
  • t
  • e
프로토콜과 기술
공개키 인프라
같이 보기
역사
  • 미국에서의 암호 기법 수출 규제 (영문판)
  • 서버 게이트형 암호 기법 (영문판)
구현체
공증
취약점
이론
암호
  • Bar mitzvah attack (영문판)
프로토콜
  • BEAST (영문판)
  • BREACH (영문판)
  • CRIME
  • DROWN (영문판)
  • Logjam (영문판)
  • POODLE (SSL 3.0 관련) (영문판)
구현체
  • Certificate authority compromise (영문판)
  • Random number generator attacks (영문판)
  • FREAK (영문판)
  • goto fail (영문판)
  • 하트블리드
  • Lucky Thirteen attack (영문판)
  • POODLE (TLS 1.0 관련) (영문판)
이 글은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