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 에브리웨어

HTTPS Everywhere
안정화 버전
2022.5.24 / 2022년 5월 25일(2년 전)(2022-05-25)[1][2]
저장소
  • github.com/EFForg/https-everywhere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웹사이트www.eff.org/https-everywhere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HTTPS 에브리웨어(HTTPS Everywhere)는 토어 프로젝트전자 프런티어 재단(EFF)이 공동으로 개발한 구글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에지, 모질라 파이어폭스, 오페라, 브레이브, 비발디 및 안드로이드용 파이어폭스 모바일자유-오픈 소스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이다.[3] 웹사이트에서 지원하는 경우 자동으로 HTTP 대신 더 안전한 HTTPS 연결을 사용하게 한다.[4] "적격한 모든 사이트 암호화" 옵션을 사용하면 한 번의 클릭으로 HTTPS가 아닌 모든 브라우저 연결을 차단 및 차단 해제할 수 있다.[5] 월드 와이드 웹에서 HTTPS가 널리 채택되고 주요 브라우저에서 HTTPS 전용 모드가 통합됨에 따라 확장 프로그램은 2023년 1월에 사용 중지되었다.[6]

같이 보기

각주

  1. “Changelog.txt”.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2019년 6월 27일에 확인함. 
  2. “Releases · EFForg/https-everywhere”. GitHub. 2018년 6월 16일에 확인함. 
  3. “HTTPS Everywhere”.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2014년 4월 14일에 확인함. 
  4. “HTTPS Everywhere reaches 2.0, comes to Chrome as beta”. 《H-online.com》. 2012년 2월 29일. 2014년 4월 14일에 확인함. 
  5. HTTPS Everywhere Changelog”. 
  6. 《Update on HTTPS Everywhere》,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2023년 1월 12일, 202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v
  • t
  • e
프로토콜과 기술
공개키 인프라
같이 보기역사
  • 미국에서의 암호 기법 수출 규제 (영문판)
  • 서버 게이트형 암호 기법 (영문판)
구현체
공증
  • 인증서 투명성 (영문판)
  • Convergence (영문판)
  • HTTPS 에브리웨어 (영문판)
  • Perspectives Project (영문판)
취약점
이론
암호
  • Bar mitzvah attack (영문판)
프로토콜
  • BEAST (영문판)
  • BREACH (영문판)
  • CRIME
  • DROWN (영문판)
  • Logjam (영문판)
  • POODLE (SSL 3.0 관련) (영문판)
구현체
  • Certificate authority compromise (영문판)
  • Random number generator attacks (영문판)
  • FREAK (영문판)
  • goto fail (영문판)
  • 하트블리드
  • Lucky Thirteen attack (영문판)
  • POODLE (TLS 1.0 관련) (영문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