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21일 일식

북위 30° 30′ 동경 79° 42′ / 북위 30.5° 동경 79.7°  / 30.5; 79.7최대 구간 폭21 km시간 (UTC)최대식6:41:15출처사로스 주기137 (70개 중 36번 째)목록 # (SE5000)9553

2020년 6월 21일 금환일식은 이날 일어나는,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다 가리지 못하고 태양의 가장자리가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금환일식이다. 사로스 제137주기에 일어나는 일식이다. 금환일식은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작아 태양을 다 가리지 못할 때 일어난다. 금환일식은 매우 좁은 지역에서만 관측 가능하며, 대부분의 다른 지역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된다.[1]

이번 일식은 2019년 7월 2일 일식 이후 대략 1음력만에 일어난 일식이다. 또한 1648년 6월 21일 혼성일식 이후로 372년만에 하지날에 일어난 일식이다.

관측 가능 지역

2020년 6월 21일 일식 당시 일식 관측 지역을 나타낸 애니메이션
부분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지역을 그린 지도

완전한 금환일식을 관측 가능한 지역은 오전 4시 50분(UTC) 경, 현지 시각 기준 해가 막 뜬 직후인 콩고 공화국 동부에서 금환일식이 시작되어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지부티중앙아프리카동아프리카 지역을 거쳐간 후 홍해를 건너 아라비아반도 남부의 예멘,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남부 일부 지역을 거쳐간 후 파키스탄 남부, 인도 서북부, 네팔, 티베트남아시아히말라야산맥을 지나가 중화인민공화국 남부 및 타이완 섬을 지나 미크로네시아 일부 섬 지역을 거치며 UTC 오후 8시 30분 경 동남쪽 해상 370km 해역 지점에서 끝난다.[2] 이날 최대 금환일식을 관측 가능한 지역은 인도와 중국 국경에 있는 인도의 난다 베비 국립공원 지역인데 이 때 최대식 관측 시간은 38초로 짧으며 가장 긴 금환식 관측 가능 지역인 중앙아프리카에서도 최대 1분 22초만 관측 가능하다.[3]

부분일식을 관측 가능한 지역은 아프리카 거의 대부분 지역, 이탈리아 남부 및 발칸반도 등 동남유럽 지역, 시베리아자와섬 일부를 제외한 아시아 거의 전역에서 볼 수 있으며 해가 지기 거의 직전 뉴기니섬호주 북부에서도 관측 가능하다.[2]

인도와 오만의 경우에는 2019년 12월 26일 개기일식 이후 약 6개월 만에 다시 맞이하는 일식이다.[4]

대한민국에서는 2016년 3월 9일 부분일식 이후 4년만에 관측하는 일식이다. 이 날 대한민국 전역에서 부분일식 관측이 가능하다. 서울 기준 15시 53분(KST)부터 약 2시간 11분가량 부분일식 관측이 가능하며 최대식분은 0.55(45% 가려짐)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번 일식 이후 다음으로 관측 가능한 일식이 2030년 6월 1일 금환일식으로 이 때도 부분일식만을 관측 가능하다.[5]

갤러리

세계 각지에서 관측한 일식

같이 보기

각주

  1. 이근영 (2020년 6월 21일). “오늘 오후 4시 2020년대 마지막 일식 보세요”. 《한겨레. 2020년 6월 21일에 확인함. 
  2. “Annular Solar Eclipse on June 21, 2020”. 《www.timeanddate.com》 (영어). 2019년 12월 26일에 확인함. 
  3. “Annular Solar Eclipse of June 21”. Eclipse Wise. 2020년 6월 21일에 확인함. 
  4. World Atlas of Solar Eclipse Paths
  5. “6월 21일 부분일식 예보 - 서울 기준 15시 53분부터 관측 가능”. 한국천문연구원. 2020년 6월 15일. 2020년 6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2020년 6월 21일 일식
  • EclipsePortal - Annular Solar Eclipse 2020 timings and maps
  • Solar Eclipse June 2020 dates and time full Information Archived 2023년 6월 2일 - 웨이백 머신
  • Earth visibility chart and eclipse statistics - NASA/GSFC
  • v
  • t
  • e
식 목록
세기별
  • 고대
  • 기원전 20세기
  • 기원전 19세기
  • 기원전 18세기
  • 기원전 17세기
  • 기원전 16세기
  • 기원전 15세기
  • 기원전 14세기
  •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2세기
  •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10세기
  • 기원전 9세기
  •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7세기
  •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
  • 기원전 1세기
  • 1세기
  • 2세기
  • 3세기
  • 4세기
  • 5세기
  • 6세기
  • 7세기
  • 8세기
  • 9세기
  • 10세기
  • 11세기
  • 12세기
  • 13세기
  • 14세기
  • 15세기
  • 16세기
  • 17세기
  •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 22세기
  • 23세기
  • 24세기
  • 25세기
  • 26세기
  • 27세기
  • 28세기
  • 29세기
  • 30세기
사로스 주기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역사
  • 무르실리의 식 (기원전 1312년)
  • 아시리아 식 (기원전 763년)
  • 탈레스의 식 (기원전 585년)
  • 십자가형 어둠
13 November 2012 total solar eclipse
개기/혼성식

다음 개기/혼성식을
나타내는 기호
10 May 2013 annular eclipse
금환식

다음 금환식을
나타내는 기호
23 October 2014 partial eclipse
부분식

다음 부분식을
나타내는 기호
다른 행성
관련 주제
  • 허구 속 일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