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6일 일식

북위 67° 24′ 동경 153° 36′ / 북위 67.4° 동경 153.6°  / 67.4; 153.6시간 (UTC)최대식1:42:38출처사로스 주기122 (70개 중 58번 째)목록 # (SE5000)9550

2019년 1월 6일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의 일부를 가리는 부분일식이다. 지구가 달의 반그림자를 지날 때 일어난다. 아시아 동부, 태평양 북부에서 관측이 가능하다.[1]

진행 과정

부분일식 진행도(UTC)

관측 행사

대한민국 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 기준 오전 8시 36분(KST, 한국 표준시)에 부분 일식이 시작하여, 9시 45분에 최대로 가리고, 11시 3분 달이 해와 완전히 떨어지면서 부분일식이 마무리 된다고 예보하였다.[1]

온라인 생중계

한국천문연구원은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https://www.facebook.com/kasipr )를 통하여, 오전8시 30분부터 11시 5분까지 부분 일식을 실시간 방송하며,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태양플레어 망원경과 155mm 굴절망원경을 사용한 부분 일식 장면을 공개한다.[2]

행사 장소

지역 장소 주관 출처
강원 양구군 국토정중앙천문대 국토정중앙천문대
경기 과천시 국립과천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군포시 대야도서관 누리천문대 대야도서관
안성시 안성맞춤천문과학관 안성시농업기술센터
포천시 포천아트밸리 천문과학관 포천아트밸리
경남 김해천문대 김해천문대
경북 영천시 보현산천문과학관 보현산천문과학관
예천천문우주센터 예천천문우주센터
대구 달성군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
유성구 대전시민천문대 대전시민천문대
부산 금련산청소년수련원 부산시민천문대 금련산청소년수련원
서울 노원구 서울시립과학관 서울시립과학관
노원구 중계근린공원 노원우주학교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서울스카이
전남 고흥군 NYSC 덕흥천문대 국립청소년우주센터 (NYSC)
고흥군 고흥우주천문과학관 고흥우주천문과학관
여수시 환경도서관 여수시립환경도서관
전북 익산시 전라북도과학교육원 전라북도과학교육원
정읍시 전북기상과학관 전북기상과학관
제주 제주시 별빛누리공원 별빛누리공원
충남 천안시 홍대용천문과학관 홍대용천문과학관
청양군 칠갑산천문대 칠갑산천문대
충북 청주시 충북교육과학연구원 충북교육과학연구원
충주시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사진첩

  • 오전 9시 47분(KST)에 태양투영법으로 보현산천문과학관에서 촬영된 부분 일식
    오전 9시 47분(KST)에 태양투영법으로 보현산천문과학관에서 촬영된 부분 일식

각주

  1. 한국천문연구원 대국민홍보팀 (2018년 12월 20일). “2019년도 주목할 천문현상 및 1월 6일 부분일식 예보”. 한국천문연구원. 2019년 1월 5일에 확인함. 
  2. 이근영 선임기자 (2019년 1월 5일). “3년 만에 찾아온 부분일식 6일 아침 만난다”. 《한겨례》. 2019년 1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2019년 1월 6일 일식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v
  • t
  • e
식 목록
세기별
  • 고대
  • 기원전 20세기
  • 기원전 19세기
  • 기원전 18세기
  • 기원전 17세기
  • 기원전 16세기
  • 기원전 15세기
  • 기원전 14세기
  •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2세기
  •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10세기
  • 기원전 9세기
  •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7세기
  •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
  • 기원전 1세기
  • 1세기
  • 2세기
  • 3세기
  • 4세기
  • 5세기
  • 6세기
  • 7세기
  • 8세기
  • 9세기
  • 10세기
  • 11세기
  • 12세기
  • 13세기
  • 14세기
  • 15세기
  • 16세기
  • 17세기
  •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 22세기
  • 23세기
  • 24세기
  • 25세기
  • 26세기
  • 27세기
  • 28세기
  • 29세기
  • 30세기
사로스 주기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역사
  • 무르실리의 식 (기원전 1312년)
  • 아시리아 식 (기원전 763년)
  • 탈레스의 식 (기원전 585년)
  • 십자가형 어둠
13 November 2012 total solar eclipse
개기/혼성식

다음 개기/혼성식을
나타내는 기호
10 May 2013 annular eclipse
금환식

다음 금환식을
나타내는 기호
23 October 2014 partial eclipse
부분식

다음 부분식을
나타내는 기호
다른 행성
관련 주제
  • 허구 속 일식
이 글은 식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