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의 길

다른 뜻에 대해서는 제3의 길 (팔레스타인의 정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진보주의
역사
 •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 미국 독립 전쟁 (1775년)
 • 미국 독립선언 (1776년)
 • 프랑스 혁명 (1789년)
 • 테르미도르의 반동 (1794년)
 • 7월 혁명 (1830년)
 • 차티스트 운동 (1838년)
 • 1848년 혁명 (1848년)
 • 아이제나흐 강령 (1869년)
 • 고타 강령 (1875년)
 • 페이비언 협회 설립 (1884년)
 •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 여성의 날 성립 (1911년 3월)
 • 신해혁명 (1911년 10월)
 • 러시아 2월 혁명 (1917년 3월)
 • 10월 혁명 (1917년 11월)
 • 14개조 평화 원칙 (1918년 1월)
 • 독일 11월 혁명 (1918년 11월)
 • 국제 연맹 창설 (1920년)
 • 미국의 뉴딜 정책 실시 (1933년)
 • 스페인 내전 (1936년)
 • 국제 연합 창설 (1945년)
 • 세계 인권 선언 (1948년)
 • 프랑크푸르트 선언 (1951년)
 •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 안보투쟁 (1959년)
 •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1960년대)
 • 프라하의 봄 (1968년 1월)
 • 1968년 혁명 (1968년 5월)
 • 스톤월 항쟁 (1969년)
 •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 글라스노스트 (1986년)
 • 동유럽 혁명 (1989년)
 •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성립 (1990년)
 • 볼리바르 혁명 (1999년)
 • 함부르크 강령 (2007년)
 •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2008년)
 • 아랍의 봄 (2010년)
 • 중국 재스민 혁명 (2011년 2월)
 • 월 가를 점거하라 (2011년 9월)
 • 노란 조끼 운동 (2018년)
상징 및 표어
관련 조직
  • 급진당[목록]
  • 노동당[목록]
  • 녹색당[목록]
  • 민주당[목록]
  • 사회민주당[목록]
  • 정의당[목록]
  • 진보당[목록]
  • 유럽 녹색당-자유 동맹 (Greens/EFA, 1999 - )
  • 진보동맹 (PA, 2013 - )
주요 운동가
 모리스 (1834년 ~ 1896년)
 E. 졸라 (1840년 ~ 1902년)
 J. 애덤스 (1860년 ~ 1936년)
 스더밍 (1941년 ~ )
 무어 (1954년 ~ )
주요 이론가
 디드로 (1713년 ~ 1784년)
 칸트 (1724년 ~ 1804년)
 푸리에 (1772년 ~ 1837년)
 J. S. 밀 (1806년 ~ 1873년)
 소로 (1817년 ~ 1862년)
 그린 (1836년 ~ 1882년)
 조지 (1839년 ~ 1897년)
 듀이 (1859년 ~ 1952년)
 애보트 (1876년 ~ 1957년)
 켈젠 (1881년 ~ 1973년)
 라이히 (1897년 ~ 1957년)
 사르트르 (1905년 ~ 1980년)
 보부아르 (1908년 ~ 1986년)
 메를로퐁티 (1908년 ~ 1961년)
 카뮈 (1913년 ~ 1960년)
 북친 (1921년 ~ 2006년)
 롤스 (1921년 ~ 2002년)
 바우만 (1925년 ~ 2017년)
 부르디외 (1930년 ~ 2002년)
 A. K. 센 (1933년 ~ )
 네그리 (1933년 ~ )
 발리바르 (1942년 ~ )
 워런 (1949년 ~ )
 소칼 (1955년 ~ )
주요 정치인
 콩도르세 (1743년 ~ 1794년)
 라폴레트 Sr. (1855년 ~ 1925년)
 윌슨 (1856년 ~ 1924년)
 T. 루스벨트 Jr. (1858년 ~ 1919년)
 A. E. 스미스 Jr. (1873년 ~ 1944년)
 F. D. 루스벨트 (1882년 ~ 1945년)
 마쓰모토 (1887년 ~ 1966년)
 쑹칭링 (1893년 ~ 1981년)
 긴즈버그 (1933년 ~ 2020년)
 샌더스 (1941년 ~ )
  • v
  • t
  • e

제3의 길(영어: Third Way)은 일부 사회자유주의자사회민주주의자들이 주장한 이념이다.[1] 제3의 길을 주장하거나 지지한 정치인으로는 토니 블레어, 빌 클린턴, 고든 브라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등이 있다.[2][3][4]

등장 배경 및 역사

제3의 길은 1994년 당시 영국 노동당의 당수였던 토니 블레어에 의해 처음 공식화되었으며,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정당들이 제3의 길 경향을 띄면서 보편적인 사회민주당의 이념으로 뿌리박았다. 1990년대 말 사회민주당들의 제3의 길 수용은 신자유주의 경향에 대한 확고한 지지로 드러났다.

1995년에는 토니 블레어 당수의 요구에 따라 노동당의 오랜 전통이었던 복지국가 건설 정책이 폐기되었으며, 기존 노동당의 정책들은 재정보수주의적이고 신자유주의적인 신노동당 정책으로 대체되었다.

제3의 길이 처음으로 공식화되었던 영국 노동당은 영국 보수당과 함께 영국의 양대 정당으로 자리잡았으며, 토니 블레어 집권 이후 13년간 영국 총리를 배출하였다.

확산과 쇠퇴

이러한 새로운 길은 미국에서 민주당 빌 클린턴 정권이 출범하면서 점점 그 색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영국 노동당의 토니 블레어 수상이 집권한 뒤, 토니 블레어는 '제3의 길'(영어: Third Way)이 자신이 나아갈 길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제3의 길이라는 노선은 토니 블레어에 의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미국의 민주당은 스스로를 신민주당, 영국의 노동당을 신노동당으로 부르며, 제3의 길은 확산되었다. 영국 노동당의 고든 브라운 수상이 토니 블레어 정권의 뒤를 이어 제3의 길을 내세워 집권했다. 영국 노동당과 미국 민주당의 제3의 길 경향은 고든 브라운이 총선 참패로 사퇴하면서, 빌 클린턴의 캔들 이후 그의 반대파이자 현대자유주의자라고 자칭하는 파벌이 다수파가 되면서 종지부를 찍었다.

같이 보기

각주

  1. James L. Richardson. Contending Liberalisms in World Politics: Ideology and Pow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01 Pp. 194.
  2. Schreiber, Leon Amos (2011). 《The third way in Brazil? Lula's presidency examined》 (학위논문). Stellenbosch University. 2016년 11월 8일에 확인함. 
  3. Luiz C. Barbosa, 편집. (2015). 《Guardians of the Brazilian Amazon Rainforest: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Development》. Routledge. 43쪽. ISBN 9781317577645. Lula da Silva's form of economic liberalism can be classified as “socialist neoliberalism.” This means that one uses the wealth generated by the market to finance social programs to lift people out of poverty. 
  4. C. Wylde, 편집. (2012). 《Latin America After Neoliberalism: Developmental Regimes in Post-Crisis States》. Palgrave Macmillan. 206쪽. ISBN 9780230301597. In Brazil Lula too adopted fiscally conservative policies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

  • 제3의 길이란 무엇인가? - BBC 뉴스 (영어)
전거 통제: 국가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독일